본문 바로가기

질문2

AI가 발전하면 어떤 사람들이 타격을 입을까?(feat. chatgpt 사용기) 요즘 어딜가나 사람들이 chatgpt 이야기를 한다. 그야말로 장안의 화제인데, 아직 chatgpt가 뭔지 모르거나 써보지 않은 사람들은 왜들 그렇게 호들갑이냐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써본 사람들은 그 이유를 알 것이다. 나 역시 chatgpt를 직접 써보고 깜짝 놀랐다. 내가 생각했던 그 이상으로 성능이 뛰어났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chatgpt를 이용해서 대학교 리포트를 제출하는 학생들이 생겨나고 있고, 미국에서는 변호사 시험과 의사 시험까지 통과했다고 하니 이미 어지간한 대학생 수준을 뛰어넘었는지도 모르겠다. “의사 로스쿨 시험 모두 붙었어요”…알고보니 사람 아니었네 - 매일경제 와튼MBA 운영관리 시험서 B학점 로스쿨 시험에서는 C+ 로 통과 의사면허 샘플 문제 봤더니 모두 통과 AI가 단순업.. 2023. 5. 17.
주체적인 삶과 '잘' 산다는 것(feat. 탁월한 사유의 시선_최진석 교수) 생각을 수입하는 사람들은 생각을 수출하는 사람들이 생각한 결과들을 수용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스스로 생각하는 일이 어려워져버린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생각한 결과들은 잘 숙지하면서, 스스로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 질문보다 대답을 위주로 하는 사회에서는 모든 논의가 주로 과거의 문제에 집중하게 되어버리거나 진위 논쟁으로 빠져버린다. 대답은 인격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도 가능하지만, 질문은 궁금증과 호기심이라는 내면의 인격적 활동성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절대 나올 수 없다. 한마디로 대답은 '기능'이지만, 질문은 '인격'이다. ​ 새로운 생각을 해내는 사람은 기존의 믿음 체계로부터 이탈한 독립적 주체다. 고독한 존재다. 문명의 깃발로 존재하는 철학이나 예술은 다 고독한 존재들의 용.. 2023.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