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행자7단계모델5

경제적 자유를 위한 역행자의 지식(feat. 자청) 오늘은 자청 작가의 역행자 책 중에서 저자가 인생으로부터의 자유를 얻기 위해 습득했던 역행자의 지식들과 관련된 내용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책의 저자에 따르면 본성을 역행하는 지식을 알고 있다면 순리자(평범한 사람들)과는 다른 삶을 살 수 밖에 없다고 한다. 1. 기버 이론_역행자는 1을 받으면 2를 준다 잘되는 사람은 절대 아끼지 않는다. 어떻게든 사람을 도우려 하고 모든 것을 퍼주려 한다. 기버 성향을 갖고 있다. 저자는 주변에 인색한 사람 중 젊은 나이에 경제적 자유를 얻은 사람을 한 명도 본 적이 없다고 말한다. 그 사람이 잘될 지 안 될지 판가름 하는 시그널 중 하나로 밥을 잘 사는지 여부를 꼽는데, 밥을 사는 행위는 단기적 손해와 장기적 이득을 맞바꿀 만한 판단력이 있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이.. 2023. 6. 3.
유전자 오작동을 극복해야 부자가 될 수 있다(feat. 역행자) 오늘은 자청 작가의 역행자 책에서 언급하는 '역행자 7단계 모델' 중 3단계인 유전자 오작동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역행자 | 자청 - 교보문고 역행자 | “절대 읽지 마라! 죽을 때까지 순리자로 살고 싶다면!” 오타쿠 흙수저에서 월 1억 자동 수익을 실현한 무자본 연쇄창업마,라이프해커 자청의 인생 역주행 공식 대공개!대부분의 사람 product.kyobobook.co.kr 진화의 목적은 완벽함이 아니라 생존이다. '클루지'의 저자 개리 마커스에 따르면, 진화라는 것은 아주 합리적이거나 계획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다. 진화는 늘 낡은 버전위에 새로 업데이트를 덧씌우는 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류가 많을 수밖에 없다. 맹점이 있는 눈의 구조, 사랑니, 맹장 등등 우리 몸은 여러 오류들로 가득차 있다.. 2023. 6. 1.
인생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_뇌 최적화(feat. 역행자) 인생을 바꾸는 방법은 간단하다. 의사 결정력을 높이면 된다. 그리고 의사 결정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더 똑똑해져야 한다. 뇌가 빠르게 돌아갈 수 있도록 최적화 되어야 한다는 의미다. 예전에는 지능이라는 것이 고정된 개념이라고 인식 되었지만 뇌과학이 발달할 수록 지능도 개발이 가능한 것으로 점차 인식이 바뀌고 있다. 역행자의 저자인 자청 또한 뇌는 얼마든지 개발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그 방법을 3단계로 이야기 한다. 뇌 최적화를 위한 3단계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뇌 최적화 1단계_22전략 22전략이란 2년간 매일 2시간씩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을 말한다. 근육을 단련하듯이 두뇌도 단련할 수 있다. 근육을 성장시키기 위해선 '꾸준히 근육을 자극'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뇌의 근육 또한 자극이 가능하.. 2023. 5. 29.
경제적 자유를 얻으려면? 자의식 해체를 해라(feat. 역행자) 역행자의 저자인 자청은 인생에도 게임처럼 공략집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 공략집대로 실행한 끝에 경제적 자유에 이르게 되었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생 공략집의 내용을 7단계로 정리하였으니, 그것이 바로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이다. 저자에 따르면 누구라도 이 7단계 모델을 따라가기만 하면 경제적 자유에 다다를 수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은 다음과 같다. 자의식 해체 -> 정체성 만들기 -> 유전자 오작동 극복 -> 뇌 자동화 -> 역행자의 지식 ->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 역행자의 쳇바퀴 하지만, 이렇게까지 친절하게 방법을 알려주어도 이를 실행하는 사람은 고작 5%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항상 경제적 자유에 이르는 사람은 소수인 것이 아닐까? 오늘은 경제적.. 2023. 5. 28.
역행자 책 요약(역행자 7단계 모델)_자청 역행자의 저자인 자청은 경제적 자유에 이르는 방법을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역행자 7단계 모델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1단계 : 자의식 해체 나의 자의식은 나의 멘탈을 보호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방어기제를 펼친다. (사실은 누구보다 부자가 되고 싶지만) "난 돈이 없어도 행복해" 라고 말하면서 하루 하루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는 자신을 정당화 하는 것. 부자들은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 부자가 된 사람들을 깎아 내리는 것 등 이는 이솝우화에 나오는 여우의 신포도 일화와 유사하다. 내가 지금 그 여우의 상태는 아닌지 알아차려야 한다. 내가 잘 안풀리는 원인을 남탓, 상황탓, 환경탓, 사회탓으로 돌리는 행위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리고 나보다 잘 된 사람들을 운이 좋아서 그런 것이라고 .. 2023.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