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5

레버리지 책리뷰(자본주의 속에 숨겨진 부의 비밀_롭무어) 저자 : 롭 무어 영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공한 삼십 대 초반의 백만장자이자 자기 자본은 단 한 푼도 들이지 않고 오백 채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하는 데 성공한 신화적인 인물이다. 동시에 여섯 권의 베스트셀러를 쓴 저자이기도 하다. 롭은 대학 시절에 몇 차례 사업을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빚이 엄청나게 불어나 파산 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그 과정에서 레버리지의 원리를 터득했고, 3년 만에 완전한 경제적 자유를 획득했다. 현재 영국에서 가장 큰 부동산 교육 회사인 프로그레시브 프로퍼티(Progressive Property)를 포함한 일곱 개의 사업체를 운영 중이며,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레버리지 라이프를 전파하고 있다. 레버리지 | 롭 무어 - 교보문고 레버리지 | 자본주의를 내.. 2023. 6. 25.
부자되는 방법(feat. 성공한 사람들의 비밀) 삶을 살아가면서 "...할 껄"이라고 후회하는 것만큼 미련한 것도 없지만, 그래도 돌아보면 아쉬움이 남는 것들이 몇 가지 있다. 그리고 나의 경우 그것들은 대부분 무언가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라기 보다는 조금 더 일찍 시작하지 못한것에 대한 아쉬움에 가까운 것 같다. "부자 되는 방법을 조금 더 빨리 알았더라면...", "내가 조금 더 어릴 때 누군가 내게 이런 것들을 가르쳐 줬더라면..." 하는 아쉬움들이 그것이다. 오늘은 만약 내가 과거로 돌아가서 20대의 나를 만날 수 있다면 말해주고 싶은,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책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성공의 비밀(부자되는 방법) 3가지를 정리하고자 한다. 1. 레버리지아무도 당신을 위해 일하고 있지 않다면 당신이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고 있는 것이다. .. 2023. 5. 14.
집값이 계속 떨어지면 정말 좋을까?(feat.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집값이 많이 떨어졌다. 이미 2021년 고점 대비 절반 가까이 떨어진 곳도 있는데 많은 사람들이 앞으로도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단순하게 생각했을 때, "집값이 계속 떨어지면 좋지않나?" 라고 여길 수 있다. 누구나 내 집 하나쯤은 가지고 싶은게 인지상정이니, 기왕이면 더 싼 가격에 집을 살 수 있기를 바랄 것이다. 그런데 바로 여기에 함정이 있다. ​ 집값이 계속 떨어진다면? 집값이 정말 계속해서 떨어지기만 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말은 곧 오늘보다 내일이, 내일보다는 모레가 더 싸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렇다면 굳이 '오늘' 집을 살 이유가 없어진다. 기다리면 기다릴수록 집값이 싸지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집을 사는 사람과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바보다. 집을 보유하고 있을수록 자산 가치가.. 2023. 4. 27.
레버리지 책요약_자본주의 속에 숨겨진 부의 비밀 내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책을 한 권만 꼽아야 한다면 어떤 책을 꼽을 수 있을까? 여러가지 책들이 떠오르지만 그래도 딱 한 권만 꼽아야 한다면 나는 이 책을 꼽을 것이다. 바로 롭 무어의 '레버리지'이다. 이 책을 읽고난 후 삶을 살아가는 나의 태도는 이전과 많이 달라졌다. 아니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이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의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레버리지(leverage)의 사전적인 의미는 '지렛대의 힘'이다. 이 말은 보통 투자에서 많이 쓰이는데, 적은 힘으로 큰 힘을 낼 수 있게 해주는 지렛대의 원리를 투자에 접목시켜 더 높은 효율을 추구하는 행위를 뜻하는 용어(예를 들어 대출을 일으켜서 적은 자본으로 집을 사거나 전세입자를 활용해서 적은 돈으로 갭투자를 하거나)로 주로 사용.. 2023. 4. 18.
자유 vs 평등(feat. 노예의 길)_부의 인문학(우석) 책리뷰 우리는 지금 자본주의 시장 경제 체제 아래에서 살아가고 있다. 자본주의는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그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현재까지 가장 성공한 경제 체제이다.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핵심은 '자유'이다. 이 체제 아래서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고, 각 개인은 자신의 부를 창조하기 위해 노력한다. 국가의 개입은 최소화되고 모든 것은 수요와 공급에 따른 시장 경제의 원리에 따라 움직인다.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도 불가피하다. 그러다보니 필연적으로 부의 양극화나 승자독식 구조와 같은 어두운면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맞서는 경제 체제가 바로 사회주의이다. 사회주의 경제 체제의 핵심은 '평등'이다. 이 체제 아래서 국가는 적극적으로 경제 활동에 대한 소유권과 통제권을 가진다. 승자가 부를 모두 가져가는.. 2023.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