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클루지9

유전자 오작동을 극복해야 부자가 될 수 있다(feat. 역행자) 오늘은 자청 작가의 역행자 책에서 언급하는 '역행자 7단계 모델' 중 3단계인 유전자 오작동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역행자 | 자청 - 교보문고 역행자 | “절대 읽지 마라! 죽을 때까지 순리자로 살고 싶다면!” 오타쿠 흙수저에서 월 1억 자동 수익을 실현한 무자본 연쇄창업마,라이프해커 자청의 인생 역주행 공식 대공개!대부분의 사람 product.kyobobook.co.kr 진화의 목적은 완벽함이 아니라 생존이다. '클루지'의 저자 개리 마커스에 따르면, 진화라는 것은 아주 합리적이거나 계획적으로 일어난 것이 아니다. 진화는 늘 낡은 버전위에 새로 업데이트를 덧씌우는 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류가 많을 수밖에 없다. 맹점이 있는 눈의 구조, 사랑니, 맹장 등등 우리 몸은 여러 오류들로 가득차 있다.. 2023. 6. 1.
주체적인 삶과 '잘' 산다는 것(feat. 탁월한 사유의 시선_최진석 교수) 생각을 수입하는 사람들은 생각을 수출하는 사람들이 생각한 결과들을 수용한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스스로 생각하는 일이 어려워져버린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생각한 결과들은 잘 숙지하면서, 스스로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 질문보다 대답을 위주로 하는 사회에서는 모든 논의가 주로 과거의 문제에 집중하게 되어버리거나 진위 논쟁으로 빠져버린다. 대답은 인격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도 가능하지만, 질문은 궁금증과 호기심이라는 내면의 인격적 활동성이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절대 나올 수 없다. 한마디로 대답은 '기능'이지만, 질문은 '인격'이다. ​ 새로운 생각을 해내는 사람은 기존의 믿음 체계로부터 이탈한 독립적 주체다. 고독한 존재다. 문명의 깃발로 존재하는 철학이나 예술은 다 고독한 존재들의 용.. 2023. 4. 30.
클루지를 이겨내는 13가지 제안(feat. 심리적 붕괴) 개리 마커스의 '클루지' 마지막 챕터는 정신분열증, 강박장애와 같은 인간의 심리적 붕괴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고질적이고 심각한 정신 장애만큼 우리 마음의 취약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는 없다고 말하면서, 이러한 심리적 붕괴 또한 우리의 마음이 '클루지'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의 마음이 클루지라면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들은 무엇이 있는지, 13가지 적용 가능한 방법들을 제안하며 책을 마무리 한다(앞서 클루지_언어의 비밀 리뷰에서 저자가 문제만 제기하고 해결책은 제시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는데 맨 마지막 Epliogue에 친절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오늘은 '클루지'책의 마지막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 심리적 붕괴 - 마.. 2023. 4. 7.
행복이란 감정은 오래가지 못한다(클루지_위험한 행복) 클루지 Chapter 5에서는 행복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저자인 개리 마커스는 행복이라는 것의 정의는 사람마다 각각 다르지만(ex. 쾌락, 정서적으로 안정적인 느낌, 성공적으로 마친 일에 대한 만족, 시간이 가는 것도 모를 만큼 자신이 잘 하는 어떤 것에 빠져 있는 상태 등),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행복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가 아니라, (진화의 관점에서 볼 때) '도대체 왜 인간이 행복에 관심을 가지는가?' 라는 점이라고 이야기 한다. 저자는 우리가 느끼는 행복이라는 상태 또한 클루지의 하나이며, 그렇기 때문에 우리의 행복에는 결함과 오류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 오늘은 저자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서 이 책 클루지에 나오는 '행복'에 대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2023. 4. 7.
우리의 언어는 총체적인 클루지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가 완전하다면 애매하지도 않고, 체계적이고, 안정되고, 중복되지 않으며, 나아가 우리의 모든 생각을 표현해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언어에는 단어의 발음부터 문장 형성에 이르기까지 온갖 결함과 단점과 특이 사항들이 존재한다. ​ 클루지 Chapter 4에서는 이러한 '언어의 불완전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오늘은 그 내용들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 언어의 비밀 - 언어, 커뮤니케이션을 방해하다 인간의 언어에서 애매함은 예외라기보다 상례(보통 있는 일)에 가깝다. 'run'이라는 단어는 달리기에서 스타킹이 찢기는 것, 야구의 득점까지 무엇이든 의미할 수 있으며, 'hit'는 철썩 때리기에서 히트곡까지 무엇이든 뜻할 수 있다. "I'll give you a .. 2023. 4. 7.
사람들이 형편없는 의사결정을 하는 이유(클루지_선택과 결정) 클루지 Chapter 3에서는 우리가 불완전한 의사결정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우리가 합리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본능에 따르는 반사 체계보다는 이성에 따르는 숙고 체계를 활용해야하는데, 이런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하는 순간에도 우리 인간은 반사 체계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의식적이고도 신중한 선택이 항상 최선의 선택은 아닐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결정해야만 하는 상황 또는 고려할 변수들이 너무 많을 때는 의식적인 심사숙고보다 무의식적인 결정이 오히려 더 나은 기량을 발휘하기도 한다고 이 책의 저자인 개리 마커스는 이야기 한다. ​ 중요한 것은 이 두 체계의 장단점을 인식하고 우리의 결정이 편향되기 쉬운 상황들이 언제인지, 그리고 이런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두 체계의.. 2023. 4. 7.